TitanStone

석재

image
Architecture

[건축 이야기] 건축물의 최대 하중은 0t ? 무엇이 결정할까?

“건축물이 무너지지 않으려면?”

초등학교 철봉에 한 명은 문제 없지만

세 명이 매달리면 철봉이 휘기 시작합니다

당연히

건축물도 마찬가지입니다

무게를 버틸 수 있는 최대 하중에는 분명한 한계가 있죠

그렇다면 이 하중은 무엇으로 결정될까요?

건축물의 최대 하중을 결정하는 핵심 요인

(1) 재료

압축 강도: 콘크리트·석재 → 압축에 강함 (압축은 위에서 누르는 힘)

인장 강도: 강철 → 늘어나는 힘 강해 콘크리트와 조합 (인장은 반대로 잡아당겨서 늘어나게 하는 힘)

전단 강도: 지진·바람처럼 비트는 힘에 대한 저항

콘크리트는 압축에는 강하지만, 인장에는 약함

강철은 반대 성질

→ 철근콘크리트

sdp v9wvfr93m3e4gntuqtp80eam1 0i9 mc7nflypgsguijcb8uylfbua5bocorvcxl aoh96nv

예: 파르테논 신전(압축 구조) vs 현대 고층 빌딩(철근 콘크리트 복합 구조)

(2) 구조 형식 – 힘을 어떻게 흘려보내는가?

재료가 아무리 강해도,

하중이 잘못 흐르면 건물은 무너집니다

여기서 구조적 요인이 건물의 생명선을 결정

아치·돔 구조

– 하중을 곡선을 따라 압축력만으로 분산

– 석재의 성질(압축에 강함)과 완벽하게 맞아떨어짐

– 로마의 콜로세움

– 유럽 대성당이 1000년 넘게 버틴 이유

image

골조 구조

– 기둥과 보로 하중을 나눔

– 현대 아파트·오피스 건물 대부분이 채택

– 인장+압축 모두 버틸 수 있는 철근 콘크리트 덕분

트러스 구조

– 삼각형을 반복해 힘을 고르게 분산

– 가볍지만 강력해 교량, 체육관, 공항 터미널 지붕 활용

브루클린 다리: 트러스와 케이블로 1883년 완공 이후 지금까지 사용

2022060301000008400028941

쉘·텐션 구조

– 얇은 곡면이나 케이블로 하중을 퍼뜨림

– 예: 시드니 오페라하우스(쉘), 인천대교(텐션)

– 최소한의 재료로 최대의 하중을 버티는 현대적 방식

1536808992 yxx mug obj 201606070111121832

(3) 지반과 기초

아무리 좋은 구조도 땅이 받쳐주지 못하면 소용없습니다

단단한 암반 → 안정적

연약한 점토층 → 침하, 기울어짐

그래서 초고층 빌딩은 파일 기초를 지하 수십 미터까지 박아 올립니다

예) 롯데월드타워: 123층, 파일 기초 약 80m

피사의 사탑: 기초 얕음 + 점토 지반 → 기울어짐

image

(4) 하중의 종류(Load Types)

고정 하중(Dead load): 건물 자체 무게

활하중(Live load): 사람, 가구, 차량 등 가변적 무게

환경 하중(Environmental load): 바람, 눈, 지진, 온도

초고층 빌딩은 바람 하중을 흡수하기 위해 일부러 ‘흔들림’을 허용합니다

하중의 원리 – 안전율

건물은 최대치로 설계하지 않습니다

허용 하중 = 최대 하중 ÷ 안전율

예: 부재가 100톤 버틴다면, 설계에서는 30~50톤만 허용

예측 불가능한 변수(지진, 시공 오차)를 대비하기 위함

건축의 본질은 힘을 흘려보내는 기술

건축물의 아름다움은 디자인에서 나오지만,

생명은 구조와 하중에서 나옵니다

재료가 강해도, 구조가 지혜롭지 않으면 오래갈 수 없습니다

100년, 200년을 버티는 건축물은

재료·구조·지반·하중 설계가 완벽히 맞아떨어진 결과물입니다

https://blog.naver.com/jun__w_/223983676341

LEAVE A RESPONSE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