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anStone

석재

화면 캡처 2025 08 20 104809
Architecture

[건축 이야기] 100년을 버티는 건축물, 오래가는 건물의 비밀

안녕하세요

왜 어떤 건물은 오래 유지되는데

어떤 건물은 금방 사라질까요 ??

화면 캡처 2025 08 20 104809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건축물로 추정되어지는

‘괴베클리 테페’

서울의 아파트는 30~40년 만에

재건축 소식이 들려오지만,

그리스의 파르테논 신전이나 경복궁 근정전은 수백 년, 심지어 2천 년 가까이 우리 곁에 서 있습니다

건물의 수명은 무엇으로 결정될까?

건물의 수명을 좌우하는 4가지 핵심 요소

하중 분산의 원리

건물이 오래 버티려면

중력과 사용 하중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분산시키는지가 핵심입니다

예를 들어, 고대 로마의 아치와 돔은

압축력만으로 안정적으로 버텼습니다

석재는 인장(늘어나는 힘)에는 약하지만

압축에는 강하기 때문에

아치와 돔 구조가

수천 년을 견딘 이유가 바로 여기 있습니다

기초(Foundation)의 중요성

건축 수명을 좌우하는

건물의 ‘발’

유럽의 중세 대성당은

지반을 깊게 파고 석재를 다져 만든 기초 덕분에

위로 솟은 수십 미터의

첨탑 하중을 500년 넘게 버티고 있습니다

반면 한국 아파트의 기초는

경제성과 공기 단축 때문에 얕은 경우가 많아

장기적으로는 균열·침하 위험이 큽니다

구조 시스템의 차이

조적식 구조

돌이나 벽돌을 쌓아올리는 방식

압축력에는 강하지만 인장력에 약함 → 아치, 볼트, 돔

골조 구조

기둥과 보로 하중을 분산

현대 건축 대부분이 이 시스템

보강 콘크리트와 철골이 함께 쓰여

강한 인장력·압축력 모두 대응

복합 구조

최근 고급 건물에서는

철골-콘크리트 구조에 석재 커튼월을 결합해,

구조적 강도 + 외관의 영속성을 동시에 확보

내진 설계

일본·한국 같은 지진대 지역에서

오래가는 건물의 필수 조건

예전에는 ‘두껍고 무겁게’가 정답이었다면

‘흔들림을 흡수하는 방식(면진·제진 장치)’으로 바뀌었어요

최근 일부 외벽석재를 활용한

건축물의 횟수가 줄어든

이유 중 하나죠

실제 사례

오래가는 건축물의 비밀을 증명하는 건물들

국내 사례: 경복궁 근정전

1395년 창건 → 600년 넘게 보존

이유: 기둥-보 결구 방식 + 지반 배수 구조 + 지속적인 관리

화면 캡처 2025 08 20 104414

해외 사례: 파르테논 신전 (그리스)

기원전 447년 건축 → 2천 년 이상 유지

이유: 대리석의 내구성 + 균형 잡힌 비례 구조

화면 캡처 2025 08 20 104520

왜 아파트는 30~50년 만에 재건축될까?

이유는 내구성보다 경제성입니다

땅값이 오르고, 건물 리모델링보다

새로 짓는 게 더 이익이 되니까요

그래서 건물 수명이 아닌

경제 논리가 재건축을 결정합니다

건축물의 수명은 우리의 선택

100년을 버티는 건축물은

단순히 ‘튼튼한 건물’이 아닙니다

그 건축물 안에는

재료의 힘, 구조의 지혜, 그리고 관리하는 사람들의 노력모두 담겨 있죠

https://blog.naver.com/jun__w_/223976736489

LEAVE A RESPONSE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